코로나 쇼크에 공장 멈춘 日 기업 '초비상'…삼성엔 기회

코로나 쇼크에 공장 멈춘 日 기업 '초비상'…삼성엔 기회

chars 0 1,699
동남아시아와 일본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면서 ‘전자산업의 쌀’로 불리는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사진) 공급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지난달 말레이시아의 봉쇄령 연장으로 업계 3위 다이요유덴 가동률이 뚝 떨어진 데 이어 업계 1위인 무라타제작소 일본 공장까지 셧다운(일시 가동중단)됐다. 코로나19가 국내 부품업체에 기회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업계 2위인 삼성전기는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를 거의 입지 않았다.
○작년부터 세 차례 가동 중단
26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일본의 무라타는 이달 말까지 후쿠이현 에치젠시에 있는 생산시설을 셧다운하기로 했다. 이 회사 직원 4200명을 포함해 사업장을 출입한 7000여 명 중 98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기 때문이다. 회사 측은 “다음주 감염 상황을 보고 (셧다운을) 연장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 쇼크에 공장 멈춘 日 기업 '초비상'…삼성엔 기회
후쿠이 공장은 무라타의 최대 MLCC 생산기지다. 이 회사 전체 MLCC 생산능력(월 1300억 개 수준)의 60%를 책임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의 파급력이 지난달 말레이시아의 봉쇄령 연장으로 인한 MLCC 공급난 발생보다 클 것으로 보고 있다. 말레이시아에는 세계 3위 업체 다이요가 생산시설을 두고 있다. 이 업체의 월 생산능력은 550억 개로 무라타의 절반 수준이다.

무라타의 MLCC 생산라인 셧다운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4월에도 후쿠이 사업장에서 확진자 한 명이 나오자 공장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 당시 고객사 납기일을 맞추지 못해 두 차례 기한을 연장하기도 했다. 올초에도 일본 후쿠시마 해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공장이 손상돼 가동을 멈췄다. 2년 전만 해도 40%에 달했던 무라타의 MLCC 점유율이 올 1분기 기준 34%까지 떨어진 배경이다.
코로나 쇼크에 공장 멈춘 日 기업 '초비상'…삼성엔 기회
○삼성전기 수혜 기대
MLCC는 전자제품의 회로에 전류가 안정적으로 흐르게 도와주는 부품이다. 제품 두께는 머리카락 굵기(0.3㎜) 수준이고 가로가 0.4㎜, 세로가 0.2㎜에 불과해 흔히 쌀알에 비유된다. 5세대(5G) 이동통신망을 쓰는 스마트폰엔 1000개, 신형 전기차엔 1만3000개 정도의 MLCC가 들어간다. 최근엔 이 부품의 수요가 더 늘었다. 코로나19에 따른 ‘집콕 소비’로 전자제품 판매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자동차의 전장화가 빨라지면서 차량용 MLCC 주문도 폭증했다. 가뜩이나 공급이 빠듯한 상황에서 무라타제작소 생산기지 셧다운이 장기화하고 있어 MLCC 수급난이 한층 더 심각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Comments

  • 글이 없습니다.
반응형 구글광고 등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