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꿈틀’…라면 이어 식품 가격 줄인상으로?

물가 ‘꿈틀’…라면 이어 식품 가격 줄인상으로?

chars 0 1,700
원자재 인상으로 식품업계가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소비자물가가 꿈틀대고 있다.

특히 밀가루, 유지류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높아진 제과업계의 부담이 커졌다.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라면업계에서는 이미 가격 줄인상이 시작됐다.

곡물가격지수는 지난 5월 최고치(132.8)를 찍은 이후 6월부터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전년동기 대비 높은 수준이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7월 식량가격지수’를 보면 7월 곡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29.6%가량 높은 125.5포인트(p)를 기록했다.

밀은 북미 지역의 건조한 날씨와 유럽 지역의 폭우로 인한 작황 우려로, 유지류 중 팜유는 말레이시아 등 주요 생산국 생산량 저하로 가격이 상승했다.

앞서 라면업계는 13년 만에 가격인상을 단행한 오뚜기가 총대를 메면서 가격 인상이 본격화 됐다.

농심도 4년 8개월 만에 신라면 등 주요 라면의 출고가격을 평균 6.8% 인상키로 했다.

출고가격 기준 △신라면 7.6% △안성탕면 6.1% △육개장사발면 4.4%가 인상된다. 16일부터 신라면 가격은 봉지당 평균 676원에서 약 736원으로 오른다.

삼양식품과 팔도도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인 가격 인상률과 시기는 미정이다.

풀무원은 라면 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다만 앞서 6월 국제곡물 가격 인상 등을 이유로 우동, 냉면과 같은 냉장면과 떡 등 제품 40종 가격을 평균 8%가량 인상한 바 있다.

풀무원 관계자는 “라면 가격인상과 냉장면 가격 인상은 별개”라면서 “라면 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Comments

  • 글이 없습니다.
반응형 구글광고 등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