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시동 거는 호주, '백신 여권' 대상에 한국 포함
chars
0
1,674
2021.09.14 22:59
호주 정부가 이번 주 내 한국 등 몇몇 국가와 '백신 여권'을 시행한다고 발표하면서 호주인 사이에서 유행하는 말이라고 CNN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백신 여권’은 1년 6개월 전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봉쇄를 감행했던 호주가 본격적으로 국가를 재개방하기에 앞서 쏘는 신호탄이라고 CNN은 전했다.
이에 따르면 댄 테한 호주 무역관광부 장관은 해외의 주요 국가들과 백신 여권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해당 국가로 싱가포르, 한국, 일본, 영국, 미국 등을 꼽았다. 백신 접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큐알(QR) 코드'를 여권과 연결해 해당 국가들과 출입국 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호주는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얀센 백신을 맞은 사람만 출입국시 백신 접종자로 인정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에서 만든 백신은 인정되지 않는다.
그간 가장 엄격하게 봉쇄를 했던 국가인 호주는 석 달 내 ‘위드 코로나’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호주 국민의 80%가 완전 접종을 마치는 시점에 자유로운 해외여행을 재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호주는 현재 1차 접종률 70%대, 2차 접종률은 40%대를 기록하고 있다. 목표치는 11월 말에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한국 등 몇몇 국가와 백신 여권을 시행한 뒤 해외여행을 전면 개방한다는 계획이다. 호주는 항공 좌석 수가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 정부와 항공사가 협력해 비행 노선 재편을 준비하고 있다.
호주의 이런 움직임은 백신 접종률이 올라간 것에 더해 한편에선 시드니, 멜버른, 캔버라 등 인구가 밀집된 대도시를 중심으로 델타 바이러스의 확산이 지속되는 상황도 고려됐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번 델타 확산은 시드니에서 '완전 접종자'가 야외에서 피크닉을 할 수 있도록 제한을 완화하면서 심화했다. 시드니가 포함된 뉴사우스웨일스주는 12일 하루 동안 1257명이 확진되고 7명이 사망했다. 역설적이지만 언제까지 봉쇄로 바이러스와 싸울 수 없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방역 정책을 선회했단 얘기다.
이에 따라 뉴사우스웨일스주는 호주 연방정부에 앞서 재개방 시행 계획을 세웠다. 완전 접종률이 70%에 도달하는 10월 하순부터 완전 접종자를 중심으로 술집, 체육관, 실내 모임을 재개한다는 내용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뉴사우스웨일스주의 개방은 호주의 '위드 코로나' 시범 케이스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